서울둘레길 : 수서역 - 양재 시민의 숲, 2018.11.9
출발한 지 얼마 안 되어 단풍들의 모습이 서서히 드러난다.
무엇이 부끄러워 그리도 심하게 얼굴을 붉히는가?
단풍나무 만이 가을을 알리는 것은 아니다.
비 뿌리고 난 다음의 햇빛을 나뭇잎 사이라도 들여다 볼 일이다.
나뭇잎 사이로 구름이 흐르고, 구름 사이로 해가 고개를 내민다.
이렇듯 붉어도 좋고
저렇듯 노라도 좋다.
나무는 죽어서도 버섯의 토대가 되어준다.
구름을 닮아 그 이름도 운지(雲芝)라 했던가?
어느 누군가 공들여 쌓은 돌탑, 저기에는 어떤 사연과 염원이 담겨 있을까?
비갠 후 대모산에서 바라본 시내 전경, 롯데 건물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삐쭉 고개를 내맬고 있다.
저 뒤쪽이 북한산인지 도봉산인지 언제나 시내를 내려다보며 겸손을 가르친다.
움직이지 못할 바에야 하늘 향해서라도 맘껏 올라가 보려는 듯...
나무들의 군무(群舞)
본래 다른 삶이었을 망정 낙엽으로 뒹굴 때는 서로 하나가 되고마는 낙엽의 일생
독야홍홍(紅紅)
단풍은 울타리란 경계를 필요치 않는다.
과객이 찍어주겠다는 고마운 말에 체면불고하고 몸을 내맡겨도 본다.
작은 시냇물일 망정 반갑기만 한 모습에 그만...
낙엽은 단계나 계단 따위를 구태여 따지지 않는다.
역시 붉은 단풍이 제격
至誠이면 柑天?
다채로운 색의 조화 속에 가을이 영근다.
여의천을 부유하는 여유작작한 오리 떼
양재 시민의 숲에 이르다. - 이하는 모두 양재 시민의 숲에서 만난 만추의 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