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20

구성원을 일에 몰입 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구성원들에게 당신이 하는 일이 1) 사회에는 어떤 도움이 되고, 2) 당신과 함께 일하는 팀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고, 3) 당신 스스로의 발전에는 어떤 혜택이 있고, 4) 무엇보다 당신으로 인해 고객들이 어떤 행복을 얻을 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세요. 그 다음에 회사 관점에서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세요. 그렇다면 구성원들 입장에서는 훨씬 일에 몰입할 이유가 생길 겁니다. - 맥킨지 컨설팅 보고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를 제대로 깨닫게 될 때 몰입해서 일합니다.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질 때 주인의식을 갖게 됩니다. 학습과 성장, 그리고 동료와의 관계, 인정과 보상 역시 중요합니다.

의심이 가져다주는 이득을 챙겨라

의심이 가져다주는 이득을 챙겨라. 당신이 자기 능력을 의심하는 그때가 바로 당신이 성장할 기회가 마련된 상황임을 알아차려라.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지금 당신이 가지고 있는 해법을 의심하면서도 당신은 자기의 학습 능력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자기가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는 사실은 흔히 전문성 개발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다. - 애덤 그랜트, ‘싱크 어게인’에서 사람들은 의심할 때의 불편함보다 확신할 때의 편안함을 더 좋아합니다. 그러나 확신은 자기 스스로를 자기가 직접 만든 감옥에 가둬버릴 수 있습니다. 확신이 지나치게 강하면 오만이 되고 맙니다. 요즘처럼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기에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 지금도 타당한 지를 끊임없이 의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만을 위해 산다면 삶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내가 나를 위하지 않으면 누가 나를 위하겠는가? 그렇지만 나만을 위해 산다면 삶의 의미가 무엇이겠는가? 그리고 지금 배우고 실천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 - 피르케이 아보트 (탈무드) 우리 모두는 내가 가지고 태어난 무한 잠재력을 100% 개발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낸 성과를 세상을 바꾸는데,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쓰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끝없이 학습하고 배운 대로 실천하는 삶, 어제 보다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끝없는 투쟁(?)이 필요합니다.

공짜 점심이 직장에서의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직장에서 직원들의 행복은 맛있는 샐러드나 낮잠용 수면실이나 헬스 시설등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직장에서의 진정한, 그리고 지속 가능한 행복은 재능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자신이 그토록 열심히 만든 제품을 고객들이 사랑한다는 사실을 아는 데서 나온다. - 패티 맥코드, ‘파워풀’에서 직원 행복을 위해 근무조건 개선에 매달리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외형적 조건보다는 1)하는 일의 의미와 가치, 2)스스로 참여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 3)새로운 경험과 학습을 통해 매일 매일 성장하기, 4)성과에 대한 인정과 보상, 5)서로에게 배우고 자극을 줄 수 있는 뛰어난 동료들이 함께 할 때 직원들은 몰입으로 보답합니다.

인간은 배우기를 원한다

크고 복잡한 일을 맡기면 늘 불평만 하는 사람은 지금 자신이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중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 조직 내에서 아무도 맡기 싫어하는 일을 맡아라. 그것이 크고 복잡한 일일수록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다. 일을 통해서만 우리는 성장한다. 최고의 조직은 구성원에게 배움의 기회를 계속 제공하는 곳이다. - 김형철 교수, ‘서울경제 칼럼’에서 "인간은 배우기를 원한다." 2,400년 전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이라는 책 첫 문장입니다. 2,500년 전 공자가 논어에서 한 첫마디 “배우고 익히니 이 얼마나 기쁜 일인가? (學而時習之 不亦說乎)”와 놀랍도록 유사합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평생 동안, 매일매일 일과 학습을 통해 배워나가는..

오늘 배우기를 멈추면, 내일 지도력을 잃게 된다

급변의 시대에 미래를 이끌어갈 사람은 계속 배우는 학습자다. 배움을 끝낸 사람에게는 과거의 세계에서 살아갈 기술밖에 남아있지 않다. 인간의 도구와 무기는 특수기관의 결여를 보완해주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해냈고, 인간의 학습 능력은 타고난 기술과 기관의 적응 능력으로 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업적을 달성했다. - 에릭 호퍼 오늘 배우기를 그만둔다면, 내일은 지도력을 잃게 됩니다. (하워드 헨드릭스) 사치앤 사치 CEO 케빈 로버츠는 “사람들은 직위가 올라갈수록 더 멍청해집니다. 자기 생각만 믿게 되니까요.”라고 끝없는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위대한 리더십은 끝없는 학습에서 비롯됩니다.

직장생활에서 중요한 것 3가지

직장생활에서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세 가지다. 첫째, 다른 사람이 요구하고 기대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일을 해라. 둘째, 사람들이 당신과 어울리고 싶어 할 정도로 긍정적인 기운을 내뿜어라. 셋째, 호기심을 갖고 배우는 것을 멈추지 마라. - 잭웰치 GE 전 회장 새겨들을 만한 조언입니다. 상사의 기대 수준을 뛰어넘는 주도성과 성과 창출, 동료들이 함께 일하고 싶어할 정도의 인간적 매력, 무엇보다도 급변하는 세상에 맞춰 끝없이 학습하고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모습을 갖춘다면 누구나 성공하는 직장생활을 해나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다

인생의 목적은 이기는 것이 아니다. 인생의 목적은 성장하고 나누는데 있다. 당신이 그동안 살아오면서 행한 것들을 돌이켜 볼 때, 당신은 다른 사람들을 앞지르거나 이겼을 때보다 다른 사람의 삶을 기쁘게 해준 것에서 더 큰 만족감을 느낄 것이다. - 랍비 헤럴드 쿠시너 이기는 것이 아니라, 어제보다 나은 나를 만들어 가는 것이 인생의 목적이어야 합니다. 끝없는 학습과 노력의 결과 산출되는 성장의 과실을 주위와 더불어 나누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보람과 행복의 원천입니다.

과거와의 단절이 더 나은 삶을 부른다

과거와의 단절이 더 나은 삶을 부른다 대개 배움의 열쇠는 애쓰는 것이 아니라, 멈추어 명료하게 생각하는 데 있다. 즉 당신이 늘 하던 방식대로 행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 배움의 비결이라 할 수 있다. 과거 방식대로 하면 늘 과거와 같다. 더 나은 삶을 위해서는 과거와의 단절이 필요하다. - 시어도어 다이먼 학습의 가장 큰 장애물은 이미 다 알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간 배운 수많은 지식은 오늘날 세상이 정말로 필요로 하는 지식과 모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제의 성공 방식이 내일의 실패 공식이 됩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학습 방법은 폐기학습입니다.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이 이미 쓸모없어지거나 오히려 유해한 지식이 아닌지 늘 돌아보아야 합니다.

꿩 잡는게 매 - 리더와 성과창출

꿩 잡는게 매 - 리더와 성과창출 나는 ‘꿩 잡는게 매’라는 말을 좋아하고 즐겨 씁니다. 매가 아무리 아름다우며 용맹스러운 자태를 지녔어도 꿩이라는 성과를 낚지 못한다면 이미 매가 아니죠. 즉 사업 수행에는 실속과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오영교, KOTRA 사장 모든 리더는 반드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해 내야합니다. 제 아무리 비전제시, 솔선수범, 신뢰를 바탕으로 한 영향력 행사와 같은 리더의 역할을 다한다 하더라도 성과 창출 없이는 리더십이 발휘되었다 볼 수 없습니다. 또한, 리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과 경험을 통해 리더로 성장해 갑니다. 전 직원 모두를 리더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조직 성과를 극대화 하는 최선의 길입니다. [2004년 행경 Best] 07. 06.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