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및 여행기/오십보백보

서울둘레길 : 서울대앞 - 석수역, 2018.11.26

지평견문 2018. 11. 29. 00:13


둘레길을 시작하자마자 시들이 먼저 우리를 맞이한다.


                       이미 서설이 내렸다한들 우리의 가을 여운까지 앗아갈 수는 없다.


                       둘레길이 서울 외곽을 끼고 돌듯 물레방아도 돌기는 마찬가지


                      사당역에서 석수역까지 가는 마지막 구간을 걷게 된다.


좀 웃겨보일지 뫼르지만 그래도 우리는 장군들


장승의 모습도 가지가지


이제 솟대마저 모습을 드러내기에 주저하지 않고 있다.


                       소나무라고 작다고 여겼다가는 큰코 다친다.


                       굽어서 오히려 아름다운 자태에 겸손마저 머금고 있다.


나무 사이로 관악산이 곡선으로 다가온다.


반포지은의 효조


                       한낱  쇠붙이에 난 녹일지라도 때로는 색다르게 다가온다.


                      삼성산은 천주교의 세 신부(성인)에서 비롯되었지만 보편덕인 덕을 펴는 데는 절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


                       낙엽의 젖은 모습 : 이는 분명 눈물의 흔적임에 틀림없다.



                      조선시대 좌승지를 지낸 분의 묘역


                       묘역을 지키는 멋드러진 소나무


                       으악새. 슬피 우는 것 같지는 않다.


                       물은 간데 없고 징검다리만 덩그마니 남아 있다.


잣나무 숲



옛적에 올라가 본 기억만 남긴 채 지나친 삼성산 성지


                       하나하나 모여 이루어진 돌탑



자그마한 산골 계곡을 타고넘는 나무 다리


                       아내가 던져준 떡을 열심히 쪼아대고 있는 까치의 모습. 초상권 침해라고 시비를 걸지는 않겠지.


호압사 근처의 소나무 군상들




                       호압사


호압사 경내의 자그마한 코끼리 상


                       호압사 경내의 느티나무


수령이 무려 500여 년이나 되었다고 한다.


                      호압사라더니 호랑이가 북 밑에 눌려 있다.






                      잣을 까고 있는 청솔무


                      고독할지는 몰라도 오히려 홀로 피어 눈에 띄는 꽃

 





                       내리고


                       오르는 청솔무


                      다정이 지나쳐 서로 이어져 떨어질 줄 모르는 연리지



누구든 쉬어갈 수 있도록 비어 있는 나는 빈 의자


                       석수역의 명물 플라타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