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극기차권적시(金克己次權迪詩) >
大關山高碧海東(대관산고벽해동)
대관산(大關山)이 푸른 바다 동쪽에 높은데
流出萬壑環千峯(유출만학환천봉)
만 골짜기 물이 흘러나와 천 봉우리를 둘렀네
畏塗一線掛喬木(외도일선괘교목)
험한 길 한가닥이 높은 나무에 걸렸는데
脩蟒縈紆凡幾重(수망영우범기중)
긴 뱀처럼 구불구불 무릇 몇 겹인지
秋霜鴈未過時落(추상안미과시락)
가을 서리는 기러기 가기 전에 내리고
曉日鷄初鳴處生(효일계초명처생)
새벽 해는 닭이 처음 우는 곳에 돋는도다
絶壁紅霞晝接夜(절벽홍하주접야)
높은 절벽에 붉은 노을은 낮부터 밤까지 잇닿고
幽崖黑霧陰連晴(유애흑무음련청)
깊숙한 벼랑엔 검은 안개가 음천(陰天)에서 갠 날까지 잇닿았네
擧手堪攀玉斗柄(거수감반옥두병)
손을 들면 북두칠성 자루를 부여잡을 듯
垂足可灌銀潢水(수족가관은황수)
발을 드리우면 은하(銀河) 물에 씻을 듯하다
何人解賦蜀道難(하인해부촉도난)
어떤 사람이 촉도난(蜀道難)을 지을 줄 아는고
李白去後權夫子(이백거후권부자)
이태백(李太白) 죽은 뒤에는 권부자(權夫子)로세
* (민족문화추진회 譯)《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5, 강원도, 강릉대도호부 편에서
'시심(詩心) > 한시(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달충(李達衷)의 한시(漢詩) 한 수 (0) | 2022.02.02 |
---|---|
남산성운 (0) | 2018.07.04 |
왕안석(王安石)의 권학문(勸學文) (0) | 2016.08.31 |
日本漢詩百首 : 페이스 북에서 옮겨 옴 (0) | 2014.01.15 |
대주(對酒) : 백거이(白居易) (0) | 201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