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제 2

행동을 너무 자제하지 말라

당신의 행동에 너무 불안해하지 말고, 행동을 너무 자제하지도 마라. 인생 전체가 하나의 실험이다. 실험을 많이 하는 사람은 더 나은 실험을 하게 된다. 만약 실험이 조금 서툴러서 당신의 외투가 더러워지거나 찢어진다면? 만약 당신이 정말로 실패해서 진흙탕에 한두 번 구른다면? 다시 일어나라. 그런 다음에는 넘어지는 것이 덜 두렵다. - 랄프 왈도 에머슨 ‘실패하고 거절당하는 것은 나쁜 일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힘을 준다. 인생의 꿈을 실현하려면 실패와 거절을 감수하고 계속 전진해야 한다. 쉬지 마라. 계속 투쟁하라. 많은 사람이 성공의 달콤한 향기를 경험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실패의 기쁨을 경험하라. 고통 없이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 모험이 없으면 보상도 없다’ 웨이 알린의 글입니다.

반대가 있어야 더 좋은 아이디어가 도출된다

반대가 있어야 더 좋은 아이디어가 도출된다 특정 주제에 대해 토론이 끝나고, ‘반대 의견이 없이 모두 동의한다’고 대답하면 저는 다시 말합니다. “여러분 제 말에 집중하지 않으셨군요. 모두가 찬성하는 의견은 있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 나오기 마련입니다. 모두 처음으로 돌아가 제 의견과 반대되는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보세요.” 라고 말이죠. - 채널 MTV 설립자 밥 피트먼 반대의견 없이 만장일치로 빨리 토론이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반대되는 의견들이 많이 나와 격하게 충돌될 때 더 나은 결론이 도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탁월한 결과를 위해선 건설적 갈등은 필수조건입니다. 물론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필요하고 감정적 대응을 자제해야 함은 잊어..